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ad34

산업부, 전기/자율차ㆍ IoT가전 등 5대 신산업 기술로드맵 제시

기사승인 2018.07.19  17:20:23

공유
default_news_ad1

- 오는 9월까지 기술 로드맵 확정 발표 예정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전기/자율자동차, IoT 가전, 에너지신산업 등 5대 신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위한 기술 로드맵을 오는 9월까지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9일 14시 서울 엘타워에서 ‘신산업 기술로드맵 공청회’를 개최하고 의견 수렴에 나섰다.

‘신산업 기술로드맵’은 혁신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산업부가 집중 추진하기로 한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와 ‘신산업별 발전전략’, ‘산업기술 R&D혁신방안’을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중장기(2018~2022) 기술개발 계획이다. 5대 신산업은 ▲전기․자율차 ▲반도체․디스플레이 ▲IoT가전 ▲바이오․헬스 ▲에너지신산업 등이다.

기술로드맵은 산기평 등 R&D전담기관, R&D전략기획단과 PD를 중심으로 해당 분야 전문가 자문을 거쳐 신산업별로 산업적 파급효과가 크고,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필요한 핵심기술을 선정, 연차별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이번 공청회는 로드맵을 확정하기에 앞서 산‧학‧연 전문가 등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개최한 것이다.

   
 
이상훈 산업기술정책관은 "경제 정책의 핵심인 혁신성장의 성과 창출을 위해 산업기술 R&D의 전략성 확보가 필요하며, 민간과 발맞춘 신산업에 대한 중장기 R&D전략으로서 기술로드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산업부는 공청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기술로드맵에 반영하여, 산업부 전체 R&D 투자방향을 제시하는 ‘산업기술 R&BD 전략’을 9월 중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이번에 제시된 기술로드맵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기/자율자동차

   
 
현재 1회 충전으로 300~400km를 주행하는 전기자동차는 2022년 주행거리 600km(현재 대비 50%이상 향상)를 목표로 용량 증대를 위한 배터리팩 에너지밀도 향상기술(200Wh/kg), 전기에너지 변환 효율 향상을 위한 고전압(800V급) 구동시스템 기술을 집중 개발한다. 또 충전시간을 2022년 현재대비 1/3 수준으로 단축하기 위해 충전출력을 120kW에서 400kW로 높인 초급속 충전시스템과 이를 전기차에 적용하기 위한 400A급 대전류 충전커플러(충전기-자동차 간 커넥터) 기술 개발을 추진하여 전기차 조기 대중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수소차 내구수명 향상(승용 30만km, 상용 50만km)과 현재대비 2022년 30% 가격 저감을 목표로 핵심부품 국산화, 백금촉매 사용량 감축(50%), 상용차용(버스, 트럭, 화물) 전용부품 개발 등을 추진하여 다양한 수소차가 보급될 수 있도록 하고, 2022년까지 하루에 수소차 100대 이상이 충전 가능하고 2대 이상의 수소차를 연속 또는 동시 충전할 수 있는 기술, 현재대비 수소 충전속도가 3배(1→3kg/min)인 급속충전 기술 등을 중점 개발하여 수소차 운행시 충전으로 인한 불편도 최소화할 계획이다.

현재 해외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영상센서, 라이다센서 등 자율주행차 9대 핵심부품 국산화 기술개발을 집중 추진하여 국내 자율주행차 산업의 글로벌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고, 2022년 자율주행 관련 서비스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다목적 자율주행 서비스 차량을 개발하여 자율셔틀 서비스 등 유망 서비스 모델 발굴․실증도 지원한다.

◊IoT/가전

   
 
신규로 건축되는 공동주택의 공용공간 에너지 절감 기술 실증(~2021)을 우선 추진하고, AI를 기반으로 공동주택의 개별세대 에너지소비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하지 않는 가전, 전등, 가스까지 자동 차단하는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2022)로 2022년까지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홈 기술을 실현한다. 신규로 건축되는 주택 외에 기존 주택에서도 소비자의 부담을 최소화 한 저가, 보급형 스마트홈 환경 및 IoT 가전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보급형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중점 개발(~2022)하여 2025년까지 스마트 홈 10만호를 구축할 예정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타산업(자동차, 첨단기계·로봇, 바이오‧헬스, IoT 가전, 에너지)과 연계를 통해 신수요 창출 및 신시장에 대응가능한 시스템반도체 개발에 집중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융합형 신산업의 두뇌 역할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2025년까지 기존의 1/1000 전력소비로 성능이 1000배 향상된 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차세대반도체 최적화 공정 및 장비 기술과 차세대 패키징 공정장비의 개발도 병행할 예정이다.

TV 및 모바일 단말기 산업 성장에 따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롤러블(2020) → 스트레처블(2021) → 투명․플렉시블(2022) 디스플레이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폴더블 굽힘 신뢰성(반경 3mm 이하) 기술(2020) → 스트레처블 신축성(20% 이상) 기술(2021) → 투명도(40% 이상) 기술(2022) 등의 적기 개발을 추진하여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바이오/헬스

   
 
최적화된 의료‧건강 컨설팅 서비스 제공(~2025)을 통한 국민의 의료비 부담 완화 및 신서비스 시장 창출을 목표로 병원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공공기관의 상이한 의료데이터 형식을 공통데이터모델(CDM, Common Data Model)로 표준화하는 기술(~2021)을 우선 개발하고, 표준화 된 의료데이터를 AI 기반 빅데이터로 분석‧활용하여 개인별 특정 질환에 적합한 실시간 스마트 건강·의료서비스 개발(~2022)과 중증환자의 퇴원 후 재발률 등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의 건강관리 플랫폼 실증(~2022)도 지원한다.

하나의 진단기기로 다종 시료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2021)과 현재보다 적은 시료의 양으로 분석이 가능한 초고감도 분자 진단 플랫폼 기술(~2022) 등을 집중 개발하여, 2025년까지 맞춤형 진단제품 글로벌 해외인증 5건, 맞춤형 치료제 기술수출 10건 달성을 지원하고, 아울러 진단기기의 소형화를 통해 자체 진단이 가능하게 하고, 투여경로 간편화(주사제 → 먹는 약)를 통해 환자의 복약 거부감을 줄이는 기술 개발(~2023) 등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에너지신산업

   
 
태양광은 도입 잠재력이 높은 농가, 건물벽면, 해상․간척지 등으로 적용입지를 다변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실증에 집중 지원하고, 유기물 및 페로브스카이트 등 차세대 태양광 상용화 기술 개발도 함께 추진한다. 풍력의 경우, 3MW급에 머물러 있는 국내 해상풍력 기술을 선진국 수준인 8MW급까지 끌어올린 초대형 해상풍력 시스템을 개발(~’22)하고, 차세대 MW급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 개발도 병행한다.

지능형 전력 시스템 구축을 위해 소규모 분산전원들을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가상발전소(Virtual Power Plant) 기술(~2020), 차세대 직류 송‧배전 기술(~2021), 전기차 배터리를 ESS로 활용하는 V2G(Vehicle-to-Grid) 기술(~2022) 등에 집중 투자하고, 미래 에너지 프로슈머 시대에 대비한 소규모 분산자원 중개거래 서비스 상용화(~2020), 블록체인 기반 개인간(P2P) 에너지거래(~2022) 등을 뒷받침하기 위한 거래‧정산 시스템, 사이버 보안 핵심기술 개발도 집중 지원한다.

장길수 ksjang@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모바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ad49
default_side_ad1
ad42
ad62
ad63
ad65
ad44
ad86
ad90
ad105
ad110

인기기사

ad56
ad80
ad133
ad58

포토

1 2 3
set_P1
ad60
ad74
default_main_ad1
default_setNet1_1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ad36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